RSS구독하기:SUBSCRIBE TO RSS FEED
즐겨찾기추가:ADD FAVORITE
글쓰기:POST
관리자:ADMINISTRATOR
'2007/10/25'에 해당되는 글 2
윈도우의 파일을 ftp나 기타 등등으로 utf-8 시스템의 리눅스에 올리면 한글이 다 깨진다.
이것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다.

시스템을 euc-kr로 쓰거나 기타등등 방법은 여러가지이다.

이것 때문에 구글링을 해 보았고, kldp 포럼에서 몇가지 방법을 찾아 낼 수 있었다.

1. ftp upload 시 적절한 케릭터 셋을 이용하는 법.
  lftp, filezilla, gftp 패치등이다.
  이중에서 lftp는
  set encoding=utf-8
  set fileencodings=utf-8,euc-kr
  이런식으로 세팅해서 이용 할 수 있다.

2. file system 마운트시 codepage 와 iocharset 을 명시
  ex) -o codepage=949,iocharset=utf8
  fstab에서 지정 해주면 편하게 이용이 가능 하다.

3. 자동 변경 쉘 스크립트.
   쉘스크립트로 그냥 변경 해버린다.
   만들까 했으나... KLDP에서 다른 분들의 글을 읽던 중 이미 만들어 놓은것을 발견 했다.
   recypace + musiphil 두분이 만들었다. 한분이 만들고 다른분이 버그 수정.
   내가 만든것이 아니므로, 원 저작자를 밝혔다.(또한 원자작자가 삭제를 원하면 지울것이다.)

  ----------------------------------------------------------------------
  $ cat char_convert.sh
  #!/bin/sh

  # mv2utf gets at least one filename

  if [ $# -eq 0 ]

   then
       echo "Usage : $0 filename1 [filename2] .....";
       exit 0
   fi
   # Rename euc-kr filename to utf-8 filename

   for filename

   do

       utfname=`echo "$filename" | iconv -f euc-kr -t utf-8`;

       err=$?;

       if [ $err -eq 0 ]

       then

               if [ "$filename" = "$utfname" ]

               then

   # if the filename is english file name

                       echo "$filename is not euc-kr (may be in english)"
               else
   # if the filename is euc-kr

                       echo "rename $filename : $utfname";
                       mv "$filename" "$utfname"
               fi
       else

   # if the filename is not euc-kr
               echo "$filename is not euc-kr"
       fi
   done
  ----------------------------------------------------------------------

4. iconv와 convmv
convmv --notest -f euckr -t utf-8 -r DIRECTORY

5. vi  에서
  set encoding=utf-8
  set fileencodings=utf-8,euc-kr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서 이용 하면 된다.
최고의 방법이란 없다. 언제나 사황에 따른 최선의 방법이 있을 뿐이다.
2007/10/25 13:14 2007/10/25 13:14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Linux
=====
 
 .bash_profile 또는 .bashrc에서
export PATH=$JAVA_HOME/bin을 지정
 
#설치 위치 : /usr/local/j2sdk1.4.2_02/ (/usr/local/jdk 로 심볼릭 링크)
#export JAVA_HOME=/usr/local/jdk
#export CLASSPATH=$JAVA_HOME/classes12.zip:/root/j2sdk1.4.2_02/lib
#export PATH=$PATH:$JAVA_HOME/bin:$JAVA_HOME/jre/lib
 
 
# .bash_profile
# Get the aliases and functions
if [ -f ~/.bashrc ]; then
 . ~/.bashrc
fi
#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PATH=$PATH:$HOME/bin
BASH_ENV=$HOME/.bashrc
USERNAME="root"
export USERNAME BASH_ENV PATH
export PATH=$PATH:$usr/java/j2re1.4.2_06/bin/
 
 
 

 

 
FreeBSD
========
 
/etc/profile 또는 $HOME/.bash_profile $HOME/.bashrc, .cshrc
(env 명령으로 쉘을 확인한 후 어떤 쉘을 쓰는지 확인)
 
# tcsh 쉘의 설정(.cshrc)
----------------------
# alias
alias l  ls -alF
alias ns netstat -nr
alias pp ps -aux
 
# path
set path = (/sbin /bin /user/sbin /usr/bin /usr/local/sbin /usr/local/bin /usr/X11R6/bin)
set path = ($path $HOME/bin)
 
# 환경변수
setenv LANG ko_KR.EUC
 
# 쉘 프롬프트
set prompt = "$user %c2> "
set prompt = "$user $cwd> "
set prompt = "`hostname -s`> "
 
# jdk
setenv JDK /usr/local/jdk1.1.8
set path = ($path $JDK/bin)
setenv CLASSPATH $JDK/lib/classes.zip:.
setenv LD_LIBRARY_PATH $JDK/lib/i386
 
# stty
stty erase ^H

 
# Bourne Shell의 설정(.profile)
-----------------------------
# alias
alias l='ls -alF'
 
# 로케일
LANG="ko_KR.EUC"; export LANG
 
#path
PATH=/sbin:/bin:/usr/sbin:/usr/bin:$HOME/bin; export PATH
 

 
Windows
========

도스창을 열고 set path=...... 명령을 넣으면 그 도스창을 띄운 프로세스에만 적용
 
autoexec.bat에 아래 내용 추가후 Rebooting
예) set path=%path%;c:JDK설치위치bin
설명 ) path라는 변수를 셋팅하는데 "기존의 path 변수에 있는 설정값"을 가져오고(%path%) , 추가로(;) "c:j2sebin"라는 폴더를
패스를 잡아서 어디서든지 그 안에 있는 명령어들을 쓸수있게 한다
 
환경변수를 아래와 같이 수정
예) '시작' > '설정' > '제어판' > '시스템' 으로 가서... '고급'tab > '환경변수' 버튼 클릭
     > '시스템 변수'에 "path" 더블 클릭 >  ;c:JDK설치위치bin 내용 추가
2007/10/25 00:37 2007/10/25 00:37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웅쓰:웅자의 상상플러스
웅자의 상상플러스
전체 (379)
게임 (5)
영화 (2)
기타 (23)
맛집 (5)
영어 (2)
대수학 (3)
형태소 (5)
Hacking (9)
Linux (112)
HTML (48)
Application_developing (48)
Web_developing (102)
Window (11)
«   2007/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1. 2016/01 (1)
  2. 2015/12 (3)
  3. 2015/10 (3)
  4. 2015/03 (2)
  5. 2015/0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