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구독하기:SUBSCRIBE TO RSS FEED
즐겨찾기추가:ADD FAVORITE
글쓰기:POST
관리자:ADMINISTRATOR
'2008/02/23'에 해당되는 글 2

[1](윈도우)


    - 내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한뒤 맨밑에 속성창에 들어간다 ( 네트워크 연결창이 보일것이다 )


    - 그러면 로컬영역 / VMware Network Adapter VMnet1 / VMware Network Adapter VMnet8 이 보일것이다!!

       ( 그 외에 더있다면..난 모르겠다 ㅡ_ㅡ;;알아서 잘 찾아라 )


    - 로컬영역 오른쪽 마우스를 누른뒤 속성으로 들어간뒤 열려진 창의 탭 중에 고급으로 들어가라


    - 중간에 인터넷 공유 란에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수 있도록 허용을 체크해준다


    - 그러면 홈네트워킹 연결 창이 활성화가 될것이다. 그중  VMware Network Adapter VMnet8  를 선택하고 확인


    - VMware Network Adapter VMnet8  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한뒤 속성창을 들어간다

   

    - 인터넷 프로토콜(TCP/IP) 속성창에 들어가서 IP 주소 할당을 자동으로 바꾼다 (GateWay 를 맞춰주는 방법또한있다-모르면비추)


[2](vmware)  - 안에 실행되는 리눅스를 가르키는게 아닌다! vmware 프로그램 자체를 말하는것이다!


    - 메뉴바에 보면 2번째에 Edit 탭이 있다. 그 안에 Virtual network settings 에 들어간다


    - 보통 6개의 탭이 있을텐데 그중 DHCP 를 선택하여 그중 VMnet8 의 subnet 주소를 적어놓는다 (이게 꼭필요하다)

       (원활한 설명을 위해 196.168.20.0 이라고 써있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하겠다 )

       (아마도 다들 3번째 숫자가 같을수도 다를수도있다)


[3](linux)


    - vmware 안에 리눅스로 들어가서 netconfig 라는 명령어를 친다  ( 그뒤 ok 를 선택한다 )


    - 입력란이 나오는데 첫칸 체크는 하지말고 아래 순서대로 입력한다 (첫째칸은 DHCP 설정란이다. 체크하지말것!)


   - IP address : 196.168.20.3 (196.168.???.3 중 ??? 를 제외한 나머지는 나와 똑같이 쓴다)


   - Netmask : 255.255.255.0 (이것도 나와 똑같이 쓴다)


   - Defalut Gateway(IP) : 196.168.20.2(196.168.???.2 중 ??? 를 제외한 나머지는나와똑같이쓴다)


   - Primary nameserver : 168.126.63.1 (이것도 나와 똑같이 쓴다)


    - 그뒤 확인 누른뒤 나온뒤에 service network restart 를 입력한다 (그럼 잠깐 리눅스가 네트워크에 관한 부분만 재부팅을한다)


* 안되는분들!! 제발 부탁이건데 내가 시키는대로 따라서 해라!!! 자기 맘대로 뒤에 숫자 0,1 이런식으로 바꾸지말고!

   제발 부탁이다 위에 순서대로 꼭해라(하나라도 빼먹으면 실행안된다!!)



자 이제 실험해봐라 실험방법은 2가지이다

외부와 내부로 각각 ping 을날려서 성공하면 된다


외부 : ping www.yahoo.co.kr

내부 : ping 자신의 아이피주소 ( 자기 실제 컴퓨터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랏! )


내외부 핑이 전부 잘 나가면 문제 없이 네트워크통신이 이루어진것이다


vmware 안의 linux 를 SecureCRT 라던가 Zterm 같은 SSH 접속 프로그램으로 접속할수 있다!


이때 접속할 IP 주소는 IP address : 196.168.20.3   이 IP 를 입력해서 할것!! (물론 3번째 숫자는 여러분과 다를수있다)

그리고!!! 데비안은 촉 웃겨서

network restart 안된다 ㅋㅋㅋ

할려면 !!!!!

# ifdown eth0
# editor /etc/network/interfaces  # tweak as you wish
# ifup eth0

위와같이 해야될것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그리고


vmware로 리눅스를 부팅시킨후,


vmware메뉴중 VM->install vmware-tool 선택


리눅스로 돌아와서 가상 시디롬을 마운트 시켜준다.


#mount /dev/cdrom /mnt/cdrom


마운트가 되었으면 /mnt/cdrom 아래에 있는 rpm을 설치하자.


우선, rpm을 리눅스로 복사한다.


그리고 설치...


#rpm -Uvh ~~~.rpm(이름이 생각이 안난다;;; rpm이 하나 밖에 없으니 그거 설치;)


설치가 다 되었으면 /usr/bin/vmware-config-tools.pl 실행


그럼 /mnt/hgfs 가 생성됬을 것이다.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해주면 hgfs아래에 윈도우와 리눅스를 공유 할수있는 디렉토리가 생성


된다.


vmware의 메뉴에 VM->setting->option탭->shared Folder->add


다음과 같이 하면 공유할 디렉토리를 써주라는 창이 뜨는데 거기서 위에 칸에는 리눅스에서


윈도우를 공유할 디렉토리명을 써주고,아래 칸에는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공유할 디렉토리명


을 써주면 된다.


그럼 /mnt/hgfs/공유디렉토리 가 생성된다.


2008/02/23 21:39 2008/02/23 21:39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Linux  2008/02/23 21:12
1. apt시스템

apt 시스템은 는 패키지의 의존성에 기반하여 많은 양의 패키지를 관리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이는 저장소를 기반으로 패키지를 가져와 설치하고, 제거하며, 의존성을 보존한다.
apt 기반의 패키지 관리자들은 /etc/apt/sources.list 파일로부터 저장소 목록을 읽어온다.
이 파일의 구성 형식은 sources.list(5) manpage에서 확인 가능하다.



2. 패키지 관리자

- 데비안/우분투 에서는 Command 기반, NCurse 기반, XWindow 기반으로 각각 도구가 갖추어져 있다.

(1) Command 기반 : apt도구, aptitude (인자와 같이 사용할 경우)
(2) NCurse 기반 : aptitude, deselect
(3) XWindow 기반 : Synaptics

-----------------------------------------------------------------------------------------------------

(1) apt 도구  : Console 에서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apt-cache               : APT의 바이너리 캐시 파일을 처리하고, 캐시파일에 정보를 질의하는 저수준 도구
apt-cdrom               : CDROM을 APT의 저장소 리스트로 추가하는 도구.
apt-config               : APT 설정 파일을 읽는 간단한 프로그램
apt-extracttemplates : 데비안 꾸러미에서 설정및 템플릿 정보를 뽑아내는 도구
apt-get              :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인스톨하는 간단한 인터페이스. 대부분 사용하는
                               명령어는 update와 install 이다.
apt-key                   : apt-get의 인증키 리스트를 추가, 삭제, 업데이트, 리스트 할 수 있다.
apt- sortpkgs  : 패키지 파일을 정렬하는 간단한 도구

- apt-get Command
update                  : 패키지의 리스트를 새로 받는다.
upgrade                : 업그레이드
install                   : 설치
remove                 : 제거
purge                   : 완전 제거
source                 : 소스를 다운로드 받는다.
build-dep             : 패키지를 위한 빌드 의존성을 구성한다.
dist-upgrade         :  배포판 업그레이드
dselect-upgrade    : dselect로 선택한 항목을 업그레이드한다.
clean                    : 다운 받았던 설치파일들을 지운다.
autoclean              : 오래된 다운받은 설치 파일을 지운다.
check                    : 의존성이 깨졌는지 확인한다.


----------------------------------------------------------------------------------------------------
(2) aptitude :  인자없이 사용할 경우

-> NCurse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첫화면)  : 패키지가 상태별로 분류되어 있다.
--- Upgradeable Packages     : 이미 설치된 패키지 중 새버전이 나와서 업그레이드 가능한 것
--- New Packages                 :  새로 올라온 패키지
--- Installed Packages           :  이미 설치된 패키지
--- Not Installed Packages      :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 Obsolete and Locally Created Packages    : 곧 지워질 패키지
--- Virtual Packages                : 비슷한 기능을 지닌 패키지끼리 묶은 것.
--- Task                                :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패키지를 한데 묶은 것.


# 메뉴에서 키
F10: 메뉴     U: 업그레이드           g: (작업)실행      q: 종료


# 패키지 선택 창에서 키
/         :  패키지 검색 ( 한번에 나오지 않으므로 \(역슬래시)를 눌러서 나올때까지 계속 검사한다.)
ctrl-U   :  취소 기능



-  패키지 상태 용어
+ : install : 패키지 설치, 추가 선택
+ : upgrade : 업그레이드
- : remove : 삭제 (config 파일은 남긴다.)
_ : purge : 시스템 설정 파일까지 완전히 삭제
= : hold : 설치된 패키지를 건드리지 않도록 잠금
L : reinstall : 설치된 패키지를 지우지 않고, 덮어씀
g : (시작) : 선택한 패키지에 적용한 명령들을 적용한다.
ctrl-u : 취소 : 이전 상태로 되돌린다.


- 설정시 변경할 때 보이는 정보
<설치상태> <명령상태><직/간접 선택 상태> <패키지명> <용량> <현재버전> <새버전>

ex)
  i      u     A     libssl          0.97    0.98
-> 설치된 libssl을 의존성을 위해 0.97에서 0.98로 업그레이드.

----------------------------------------------------------------------------------------------------

(3) aptitude를 인자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 Command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 내부적으로  apt-get을 이용하며, 사용법도 apt-get과 유사하다.
설치        - aptitude install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삭제        - aptitude remove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완전 삭제 - aptitude purge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정보 보기 - aptitude show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검색 하기 - aptitude search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업그레이드          - aptitude upgrade
패키지 정보 갱신  - aptitude update

자동설치 표시 : aptitude markauto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자동설치 해제 : aptitude unmarkauto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상태잠금        : aptitude hold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상태잠금 해제 : aptitude unhold 패키지명1 패키지명2 ...


- 상세 검색
~n 검색어   검색어가 포함된 패키지
~i  : 설치된 패키지
~c : 지운 후에 설정파일이 /etc에 남아있는 패키지
~b : 의존성이 깨진 패키지
~a 작업 : 특정 작업이 계획된 패키지
~s 섹션 : 섹션에 속한 패키지


- 예제
ㄱ. 전체 패키지 목록
aptitude search ~n

ㄴ. sdl 라이브러리의 개발 버전(libsdl-dev)
aptitude search ~nsdl ~ndev

ㄷ. /etc 에 설정이 남아 있는 패키지 목록
aptitude search ~c

ㄹ. game 섹션에 포함된 패키지 목록보기
aptitude search ~s game

---------------------------------------------------------------------------------------------------

(4) dselect  - NCurse 기반의 인터페이스

-  english 위키 피디아에서 보면,  aptitude는 dselect의 다음 버전으로 고려하여 개발되어 졌으며,
console-apt를 사용한 것보다 좀더 객체 지향적인 디자인으로 실행되도록 만들어졌다고 나와 있다.
현재는 dselect는 backward의 융통성을 위하여 요구되어 진다.

- aptitude나 dselect 모두 libCurseW로 설계되어 있지 않으므로 UTF-8을 사용할 경우, 한글이 깨집니다.
   aptitude는 대신 한글 메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는 aptitude를 사용하는 게 좋을 것입니다.

---------------------------------------------------------------------------------------------------

(5) synaptic : X 기반의 인터페이스
2008/02/23 21:12 2008/02/23 21:12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웅쓰:웅자의 상상플러스
웅자의 상상플러스
전체 (379)
게임 (5)
영화 (2)
기타 (23)
맛집 (5)
영어 (2)
대수학 (3)
형태소 (5)
Hacking (9)
Linux (112)
HTML (48)
Application_developing (48)
Web_developing (102)
Window (11)
«   2008/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1. 2016/01 (1)
  2. 2015/12 (3)
  3. 2015/10 (3)
  4. 2015/03 (2)
  5. 2015/0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