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구독하기:SUBSCRIBE TO RSS FEED
즐겨찾기추가:ADD FAVORITE
글쓰기:POST
관리자:ADMINISTRATOR
'2008/01'에 해당되는 글 7
플래시 애니메이션에서 가속도는 여러 곳에서 많이 응용됩니다.

이 가속도효과는 탄성을 주는 효과, 원운동하는 효과, 나선운동이라든지 점차 퍼져나가는

효과등에 응용되어 시각적으로 재미난 효과를 얼마든지 만들어 낼 수가 있지요.


그래서 이번장에는 가속도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고 다음장에서는 몇가지 간단한 응용예를

들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애니메이션에서 가속도효과란 임의의 위치에서 특정위치(타겟점이라 하지요.)로

가는동안 일정 속도를 계속 더해주는 경우와 일정순간까지 속도가 붙다가 점차 타겟점에

다다르면 속도가 속도가 점점 줄어 들어 타겟점에서는 속도가 0이 되는 경우로 나눌수가

있겠네요.

먼저 첫번째경우부터 설명하지요.

즉 속도를 계속적으로 더해가는 경우입니다. 공식으로 적어볼까요?

속도 = 속도 * 가속하려는 수치

위의 공식은 다음과 같이 적을수가 있습니다.

속도 *= 가속하려는 수치(여기서 *=의 의미는 오른쪽의 수치를 왼쪽에 계속 곱하라는 뜻입니다.)

위와같이 왼쪽의 속도는 오른쪽의 가속하려는 수치를 계속 곱해줌에 따라 증가를 계속하게 될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때 이 물체의 위치는 어떻게 될까요? 이 물체의 위치는 기존 물체가 있던 위치에다 위의

속도(가속도가 계산된 값)을 더한 값이 될겁니다. 이것도 공식으로 나타내면

물체의 위치 += 속도

여기까지 이해가 되시지요?


그럼 위의 공식을 애니메이션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자 플래시를 띄우고 원을 하나 그린다음 원을 마우스로 블럭설정한뒤 F8을 눌러 심볼로 등록합니다.

그런다음 다시 원을 선택해서 심볼로 변한 이 원에 다음의 코드를 적습니다.



//맨먼저 무비클립이 로드되면 초기값을 설정해줍니다.
onClipEvent (load) {

//그다음 속도를 1로 설정하고 가속도계수는 1.1로 설정해보죠.
sokdo = 1;
gasokdo = 1.1;
}

//이제 매프레임들이 연속될때마다 적용될 코드를 적어줍니다.
onClipEvent (enterFrame) {

//속도에 가속도계수를 곱해주고
sokdo *= gasokdo;

//그 속도를 현재 이 무비클립의 위치에 계속 더해줍니다.
this._x += sokdo;

//그런다음 무비클립의 x 축 위치가 400이 넘으면 다시 위치 0으로 돌아가고 가속도계수는 0으로 설정하여 멈추게합니다.
if (this._x > 400) {
this._x = 0;
gasokdo = 0;
}
}

위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의 결과물은 원래 한번만 실행되고 말지요. 그래서 저는 버튼을 달아보았습니다. 여러분께서도 버튼을 직접 달아본다면 아시겠지만 버튼에 재실행하라는 명령을 주기위해선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는걸 눈치채셨을겁니다. 재실행하는 경우 함수가 딱입니다.

그렇다면 버튼을 달고 함수를 응용한 최종 결과물의 소스는 어떻게 될까요? 다음과 같습니다.

onClipEvent (load) {
sokdo = 1;
gasokdo = 1.1;

//다음 부분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function moveto(a, b) {
sokdo = a;
gasokdo = b;
}

}
onClipEvent (enterFrame) {
sokdo *= gasokdo;
this._x += sokdo;
if (this._x>400) {
this._x = 0;
gasokdo = 0;
}
}


그 다음은 버튼을 달고 F8을 눌러 버튼으로 만든뒤 다시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은 코드를 적어놓으시면 됩니다.

on(press){
_root.circle.moveto(1,1.1);

}

여 기서 _root.cicle라는 코드보이시죠? 이 말은 루트(메인화면)에 있는 원(무비클립)의 공식적인 이름을 cicle로 정했다는 겁니다. 어떻게 정하냐고요? 우리가 만든 원을 한번 클릭한뒤 밑의 속성창의 맨 왼쪽면을 보시면 [인스턴스 이름]이라고 씌여있는 부분에 cicle를 적어주면 되지요.

잘 알아 두십시요. 플래시에서 모든 무비클립의 이름은 이 창에 적어논 이름으로만 인식한다는 것을요. 우리가 심볼(무비클립심볼이나 그래픽심볼, 버튼심볼)로 만들때 누르는 F8에서 적는 아무 이름은 전혀 플래시가 인식 못합니다. 그건 그냥 우리가 심볼을 만들때 개인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이름일뿐입니다.
2008/01/21 19:46 2008/01/21 19:46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HTML  2008/01/15 20:43
DL
  • DL 태그는 리스트 항목을 선언하는 태그 입니다.
  • DL 태그로 선언된 후에 DT 태그에 "항목명"을 DD 태그에 "설명"을 붙여줍니다.

형식 :
    <DL> <DT>여기에 용어의 이름을 쓴데여~~~</DT> <DD>여기에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써야겠져?</DD> <DT>허웅</DT> <DD>귀엽다. 개구장이다.</DD> </DL>
결과 :
    여기에 용어의 이름을 쓴데여~~~
    여기에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써야겠져?
    허웅
    귀엽다. 개구장이다.




DT
  • DL 태그 내부에서 정의되는 구절이나 단어를 정의합니다.





DD
  • DT 태그로 지정된 문서의 내용을 지정하는데 이용합니다.





LI
  • 리스트의 각 항목을 적을 때 이용되는 태그입니다.

형식 :
    <LI>이 글자 앞에 보이는 "동그라미"가 LI 태그가 적용된 겁니다.</LI><br /> <LI>끝나는 태그가 없어도 상관없어요.<br />
결과 :
  • 이 글자 앞에 보이는 "동그라미"가 LI 태그가 적용된 겁니다.
  • 끝나는 태그가 없어도 상관없어요.



OL
  • 숫자 혹은 알파벳 또는 로마자 등을 이용하여 리스트화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 각 항목은 LI 태그를 이용합니다.
  • 이 때, LI 태그의 속성으로 "TYPE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YPE 속성의 값으로는 A(알파벳 대문자), a(알파벳 소문자), I(로마숫자 대문자), i(로마숫자 소문자) 등을 사용합니다.

형식 :
    <OL> <LI>장미 <LI>봉선화 <LI>진달래 </OL> <br /> <OL START="100"> <LI>장미 <LI>봉선화 <LI>진달래 </OL> <br /> <OL> <LI TYPE="a">장미 <LI TYPE="a">봉선화 <LI TYPE="a">진달래 </OL> <br /> <OL> <LI TYPE="A">장미 <LI TYPE="A">봉선화 <LI TYPE="A">진달래 </OL> <br /> <OL> <LI TYPE="i">장미 <LI TYPE="i">봉선화 <LI TYPE="i">진달래 </OL>
결과 :
    1. 장미
    2. 봉선화
    3. 진달래

    1. 장미
    2. 봉선화
    3. 진달래

    1. 장미
    2. 봉선화
    3. 진달래

    1. 장미
    2. 봉선화
    3. 진달래

    1. 장미
    2. 봉선화
    3. 진달래



UL
  • 일정한 항목이나 리스트같은 것을 표현할 경우에 사용됩니다.
  • 각 항목은 LI 태그를 사용합니다.

  • 그러나 사용만 잘하면 꼭 그렇게 하실 필요 없겠죠?
  • 저 같은 경우 P 태그는 잘 사용을 하지 않습니다. ---> 습관상
  • 그래서 문단의 들여쓰기 기능이 필요할 경우에는 UL 태그를 주로 사용합니다.

  • UL 태그의 속성으로는 "TYPE 속성" 있습니다.
  • TYPE 속성의 값으로는 "disk, square, circle"의 세 종류가 있습니다.

형식 :
    <UL type="disk"> <LI>장미</LI> <LI>봉선화</LI> <LI>진달래</LI> </UL> <UL type="square"> <LI>장미</LI> <LI>봉선화</LI> <LI>진달래</LI> </UL> <UL type="circle"> <LI>장미</LI> <LI>봉선화</LI> <LI>진달래</LI> </UL>
결과 :
  • 장미
  • 봉선화
  • 진달래
  • 장미
  • 봉선화
  • 진달래
  • 장미
  • 봉선화
  • 진달래




DIR
  • DIR 태그는 항목의 리스트를 나열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UL 태그와 동일한 기능이므로 가능하면 UL 태그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20글자 이내의 짧은 항목 리스트를 만들 때 이용됩니다.

형식 :
    <DIR> <LI>리스트 - 1</LI> <LI>리스트 - 2</LI> <LI>리스트 - 3</LI> </DIR>
결과 :
  • 리스트 - 1
  • 리스트 - 2
  • 리스트 - 3




MENU
  • MENU 태그는 메뉴의 리스트를 나열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속성은 COMPACT가 있으나 대부분의 웹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질 않습니다. 유사한 기능의 UL 태그를 사용하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형식 :
    <MENU> <LI>리스트 - 1</LI> <LI>리스트 - 2</LI> <LI>리스트 - 3</LI> </MENU>
결과 :
  • 리스트 - 1
  • 리스트 - 2
  • 리스트 - 3
2008/01/15 20:43 2008/01/15 20:43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오픈소스샘플모음] http://www.quietlyscheming.com/blog/

[flexlib] http://code.google.com/p/flexlib/
[Flexed] http://flexed.wordpress.com/ 
[익스플로러] http://demo.quietlyscheming.com/ChartSampler/app.html 
[샘플소스모음] http://tech.groups.yahoo.com/group/flexcomponents/database (로긴)
[RSSReader] http://renaun.com/flex2/MXNARSSReader/srcview/
[mxmlc] http://www.senocular.com/flash/tutorials/as3withmxmlc/
[TREE] http://cflex.net/showFileDetails.cfm?ObjectID=554&Object=File&ChannelID=1
[GRID] http://thanksmister.com/dnddatagrid/index.html
[TAB] http://everythingflex.com/flex2/MultiRowTabs/Index.html
[COMPONENT] http://shigeru-nakagaki.com/index.cfm?C
 
[*] http://www.shockwave-india.com/blog/
[*] http://www.cynergysystems.com/blogs/page/andrewtrice?entry=flex_2_bitmapdata_tricks_and
[*] http://www.cynergysystems.com/blogs/page/keunlee
[*] http://weblogs.macromedia.com/auhlmann/archives/2006/11/download_distor.cfm#more
[*] http://dougmccune.com/blog/
[*] http://recycle.andre-michelle.com/
 
[CHART] http://www.stretchmedia.ca/code_examples/offset_calculator/SeriesOffsetCalculator.html
[CHART] http://www.stretchmedia.ca/code_examples/chart_range_selection/main.html
[CHART] http://flexapps.macromedia.com/flex2beta3/chartexplorer/explorer.html
[CHART] http://demo.quietlyscheming.com/ChartSampler/app.html
[STYLE] http://www.merhl.com/flex2_samples/filterExplorer/


[*] http://graemeharker.blogspot.com/2006/06/flex-and-net-tutorials-1.html
[*] http://en.wikipedia.org/wiki/Bresenham's_line_algorithm
[STYLE] http://examples.adobe.com/flex2/consulting/styleexplorer/Flex2StyleExplorer.html

 
[Certification Program Planning Guide] http://www.donathgroup.com/pdf/DonathCERTPlanGuide.pdf 
 
[Artemis] http://artemis.effectiveui.com/
[Cairngen] http://www.ericfeminella.com/blog/2007/05/09/cairngen-ant-tasks-12-release/
[Presentations for new Web] http://www.spresent.com/v2/ 
[flexibleexperiments] http://flexibleexperiments.wordpress.com/
[renaun] http://renaun.com/blog/code-examples/ 
 
[del.icio.us 에 즐겨찾기된 사이트] http://del.icio.us/tag/flex2?page=1 
 
[component] http://flexbox.mrinalwadhwa.com/ 
 
[Flash Sample] http://www.adobe.com/support/documentation/en/flash/samples/
[Flash Resource] http://www.adobe.com/support/documentation/en/flash/ 
 
[*] http://tools.assembla.com/flashcomponent/changeset/4/flashComponentAnalysis/flex2  
[*] http://www.fullasagoog.com/

2008/01/15 13:02 2008/01/15 13:02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from.Элитные двери входные  2021/09/26 11:39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Матрас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упить кривой рог  2021/09/27 20:45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Кривой рог тканевые натяжные потолки  2021/09/30 11:28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окна кривой рог  2021/10/15 16:49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Натяжные потолки кривой рог цены  2022/04/22 18:44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Натяжные потолки в кривом роге цены  2022/08/27 06:41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Матрасы ортопедические кривой рог цена  2023/05/05 19:13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Металлические двери входные  2023/06/03 22:37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заказ кухни в хрущевку в кривом роге  2023/09/17 19:39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from.webpage  2024/01/16 13:54
상상플러스 :: Flex 오픈소스 사이트 모음

initMouseEvent

void initMouseEvent(String  typeArg,
boolean canBubbleArg,
boolean cancelableArg,
org.w3c.dom.views.AbstractView viewArg,
int detailArg,
int screenXArg,
int screenYArg,
int clientXArg,
int clientYArg,
boolean ctrlKeyArg,
boolean altKeyArg,
boolean shiftKeyArg,
boolean metaKeyArg,
short buttonArg,
EventTarget  relatedTargetArg)

initMouseEvent 메소드는,DocumentEvent 인터페이스에 의해 작성된 MouseEvent
값을 초기화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이 메소드는,MouseEventdispatchEvent 메소드를
개입시켜 디스팟치 되기 전에 한해 불려 갑니다만, 필요한 경우는 초기화할 단계에서 여러
차례 불려 가는 일도 있습니다. 여러 차례 불려 갔을 경우는, 마지막 호출이 우선됩니다.


파라미터:
typeArg - 이벤트의 형태
canBubbleArg - 이벤트를 버블 할 수 있을지 어떨지
cancelableArg - 이벤트의 디폴트 액션을 억제할 수 있을지 어떨지
viewArg - EventAbstractView
detailArg - Event 의 마우스의 클릭수
screenXArg - Event 의 화면상에서의 x 좌표
screenYArg - Event 의 화면상에서의 y 좌표
clientXArg - Event 의 클라이언트의 x 좌표
clientYArg - Event 의 클라이언트의 y 좌표
ctrlKeyArg - Event 의 사이에 Ctrl 키가 밀렸는지 어떠했는지
altKeyArg - Event 의 사이에 Alt 키가 밀렸는지 어떠했는지
shiftKeyArg - Event 의 사이에 Shift 키가 밀렸는지 어떠했는지
metaKeyArg - Event 의 사이에 Meta 키가 밀렸는지 어떠했는지
buttonArg - Event 의 mouse button
relatedTargetArg - Event 에 관련하는 EventTarget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 Transitional//EN">
<HTML>
<HEAD>
<TITLE> Event Fake </TITLE>
<SCRIPT LANGUAGE="JavaScript">
<!--
function attachEvent(obj,evtType,handler){
if(typeof obj == 'object' && obj != 'undefined' && obj != '' && obj != null){
obj.addEventListener(evtType,eval(handler),false);
}
}

function initEvt(){
var btn  = document.getElementById('btn');
var btn2 = document.getElementById('btn2');

attachEvent(btn,'click','kk');
attachEvent(btn2,'click','jj');
}

function kk(){
alert(1);

var obj = document.getElementById('btn2');
var evt = document.createEvent('MouseEvents');
evt.initMouseEvent('click',true,true,window,0,0,0,0,0,false,false,false,false,0,null);

obj.dispatchEvent(evt);
}

function jj(){
alert(2);
}
//-->
</SCRIPT>
</HEAD>

<body onload=" initEvt();">
<input type="button" id="btn" value="click" />
<input type="button" id="btn2" value="click2" />
</body>
</html>


이곳 참조 사이트는 == http://developer.mozilla.org/en/docs/DOM:document.createEvent
이다. 사실 위에 글보다 이링크가 훨씬 보기 좋다 ;; 아직 한글화 안됨
2008/01/14 15:26 2008/01/14 15:26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Flash]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NFPlayer.swf?vid=58EDE6297A2DEF51F8F3D087A62817A76AE8&outKey=f2478ab4441e27b3002defbd0971576cffda410073482beaea5154164adc2fa5de2fd06e464864ccab084043a4698c9a







!!! I LVE TECKTONIK !!!

완전 사랑해


집에서 맨날 추고 있다규



2008/01/13 21:06 2008/01/13 21:06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먼저 난 HTML 잘 모른다 -_- 플밍은 잘 모르겠지만 ;;

HTML 잘  그래서 아래 사이트를 많이 이용한다..


http:/www.w3schools.com/tags/tag_dt.asp


위사이트 굳이다.

더 좋은곳있으면 .. 알려줘여 ㅠㅠ
2008/01/10 13:59 2008/01/10 13:59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HTML/Ajax  2008/01/04 17:53
Content-Type은 Internt Media 타입이다. 그러나 왜 알아야 하는 가는 웹 서버 로그의 Content-Type을 보고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때 도움이 된다. 또한 웹 포렌식 작업을 할 때 실제 공격차단의 룰셋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서비스인지의 룰인지를 판단해야 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는 웹 이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이 HTTP+XML 형태로 사용을 많이 하기 때문에 오탐여부를 판단할 때 많은 도움이 된다.

1) Multipart Related MIME 타입
  - Content-Type : Multipart/related(기본형태)
  - Content-Type : Application/X-FixedRecord
  - Content-Type: Text/x-Okie; charset=iso-8859-1;

2) XML Media의 타입
 - Content-Type : text/xml
 - Content-Type : Application/xml
 - Content-Type : Application/xml-external-parsed-entity
 - Content-Type : Application/xml-dtd
 - Content-Type : Application/mathtml+xml
 - Content-Type : Application/xslt+xml

3) Application의 타입
 - Content-Type : Application/EDI-X12:  Defined in RFC 1767
 - Content-Type : Application/EDIFACT:  Defined in RFC 1767 
 - Content-Type : Application/javascript: Defined in RFC 4329
 - Content-Type : Application/octet-stream: <-- 디폴트 미디어 타입은 운영체제 종종 실행파일, 다운로드를 의미
 - Content-Type : Application/ogg: Defined in RFC 3534
 - Content-Type : Application/x-shockwave-flash: Adobe Flash files
 -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JSON; Defined in RFC 4627
 - Content-Type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 <-- HTML Form 형태


* x-www-form-urlencode와 multipart/form-data은 둘다 폼 형태이지만 x-www-form-urlencode은 대용량 바이너리 테이터를 전송하기에 비능률적이기 때문에 대부분 첨부파일은 multipart/form-data를 사용하게 된다.

4) 오디오 타입
- Content-Type : Type audio: Audio
- Content-Type : audio/mpeg: MP3 or other MPEG audio
- Content-Type : audio/x-ms-wma: Windows Media Audio;
- Content-Type : audio/vnd.rn-realaudio: RealAudio;  등등
 

5) Multipart 타입(아카이브 또는 개체)
- Content-Type : multipart/mixed: MIME E-mail;
- Content-Type : multipart/alternative: MIME E-mail;
- Content-Type : multipart/related: MIME E-mail; Defined in RFC 2387 and used by MHTML(HTML mail)
- Content-Type : multipart/formed-data : <-- 파일 첨부

6) TEXT 타입
- Content-Type : text/css
- Content-Type : text/html:
- Content-Type : text/javascript 
- Content-Type : text/plain:
- Content-Type : text/xml:


7) 기타 MIMERPC 예제들
가) HTTP with x/www-form-urlencoded 일반요청
POST /some/resource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0=example.getStateName&1=10023


[응답]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plain
New York


나) HTTP x/www-form-urlencoded namedArgs getTeam
POST /some/resource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0=example.getTeam&state=New York&sport=Baseball


[응답]
HTTP/1.1 200 OK
Content-type: multipart/mixed, boundary=B
--BYankees

--BMets

--B


다) HTTP x/www-form-urlencoded unicode addUser
POST /some/resource HTTP/1.1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0=example.addUser&fname=Igna%ACio&lname=Sanchez


라) HTTP with multipart/form-data 요청
POST /some/resource HTTP/1.1
Content-type: multipart/form-data, boundary=AaB03x
--AaB03x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field1"


Joe Blow


--AaB03x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pics"; filename="file1.gif"
Content-type: image/gif
Content-Transfer-Encoding: binary
...contents of file1.gif...


--AaB03x--

[응답]
HTTP/1.0 200 OK
Content-type: text/plain
OK


마) Uploading multiple files with unicode

POST /foo HTTP/1.0
Content-type: multipart/form-data, boundary=AaB03x


--AaB03x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field1"
Joe Blow


--AaB03x  <-- 여러개의 파일을 첨부할 때
content-disposition: form-data; name="pics"
Content-type: multipart/mixed, boundary=BbC04y

--BbC04y  <-- 첫번째 첨부파일은 텍스트
Content-disposition: attachment; filename="file1.txt"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NICODE-1-1
Content-Transfer-Encoding: binary
... contents of some unicode file.txt ...


--BbC04y <-- 두번째 첨부파일은 이미지
Content-disposition: attachment; filename="file2.gif"
Content-type: image/gifContent-Transfer-Encoding: binary
...contents of file2.gif...

--BbC04y


----AaB03x--


바) XML and EMail 요청
HTP Request
POST /x/foo/bar HTTP/1.0
reply-to-url: callback@domain.com
message-id: abc123
aynch: required0=getAuthorization&1="bobjones"


[응답]
HTTP/1.0 200 OK
delivered-to: callback@domain.com
Content-length: 0
Mail/SMTP Response
To: callback@domain.comFrom: mimeRPC@otherplace.com
in-reply-to: abc123
content-type: text/xml
<?xml version="1.0"?><this><is /><xml /></this>

또한 간혹 Content-Type외에 x-vermeer-content-type 형태가 추가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RPC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중에 SharePoint 서버 제품군과 프론트페이지가 이 x-vermeer-Content-Type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억해 두기 바란다.

2008/01/04 17:53 2008/01/04 17:53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웅쓰:웅자의 상상플러스
웅자의 상상플러스
전체 (379)
게임 (5)
영화 (2)
기타 (23)
맛집 (5)
영어 (2)
대수학 (3)
형태소 (5)
Hacking (9)
Linux (112)
HTML (48)
Application_developing (48)
Web_developing (102)
Window (11)
«   2008/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1. 2016/01 (1)
  2. 2015/12 (3)
  3. 2015/10 (3)
  4. 2015/03 (2)
  5. 2015/0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