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구독하기:SUBSCRIBE TO RSS FEED
즐겨찾기추가:ADD FAVORITE
글쓰기:POST
관리자:ADMINISTRATOR

1. 클래스의 호출 순서

제목 : 자바에 대한 개념을 흔들어 놓는 소스다...

db책은 시간이 없어서 그냥 와우북에서 보고 영진껄루 사서 보았다....전체적인 개념잡기는 쉬운데...책 두께에 비해 깊은 내용이 없더군....하여간 엽기적인 소스를 만난 덕에 또 이렇게 글을 띠운다....

class A {
  static
  {
  System.out.println("A클래스 스태틱 로딩");
 
  }
  A() {
     System.out.println("A()");
  }
}

class ClassInitTest {
  static int monthNum=12;
  static int monthDays[];
  static
  {
     monthDays = new int[monthNum];
     monthDays[ 0] = 31; monthDays[ 1] = 28;
     monthDays[ 2] = 31; monthDays[ 3] = 30;
     monthDays[ 4] = 31; monthDays[ 5] = 30;
     monthDays[ 6] = 31; monthDays[ 7] = 31;
     monthDays[ 8] = 30; monthDays[ 9] = 31;
     monthDays[10] = 30; monthDays[11] = 31;
     
     System.out.println("static int monthDays[];...");
  }
   
  A a;
  {
     a = new A();
     System.out.println("A a;");
  }
  ClassInitTest() {
     this(0);
     System.out.println("ClassInitTest()");
  }
  ClassInitTest(int x) {
     System.out.println("ClassInitTest(int 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ClassInitTest();    //내생각엔 여기서 생성자를 호출해서 저기 아래로 이동해야 될 것 같은데 a객체를 생성하면서  a클래스로 가버리네...이해할 수 없다...5분만 투자하거라...늘그막이 고생하는 친구를 위해...(엉아라는 표현을 이젠 자제한다)

     System.out.println("new ClassInitTest();");
  }  
}

실행한 결과다....
static int monthDays[];...
A클래스 스태틱 로딩
A()
A a;
ClassInitTest(int x)
ClassInitTest()
new ClassInitTest();


답변: 자바 버츄얼머신 스펙을 참조...
 
덕분에 썬 사이트에 가서 자바 버츄얼머신 스펙을 꼼꼼히 읽어보았다.
클래스를 초기화 할때 즉 생성하면 생성자가 제일 먼저
불리우는 것이 아니었다.
간단하게 말을 하겠다.

그래야 잊지 않고 나도 기억하기 쉬우니까.
비록 정확한 대답은 아니라고 해도 전혀 틀린 것도 아니니까.

이건 만은 기억하자.

1. static을 초기화한다.
2. field를 초기화한다.
3. 생성자를 호출한다.

그러니까 소스에서는 ClassInitTest를 생성하면
1. 이 클래스내의 static을 초기화한다.
출력: static int monthDays[];...

2. 다음은 필드를 초기화한다.
필드 A a; 가 있으므로 클래스 A를 생성할 것이다.
이 클래스에도 static이 있기 때문에 이를 초기화한다.
출력: A클래스 스태틱 로딩

3. 그리고, A() 생성자를 호출한다.
출력:A()

4. 다음행 실행
출력:A a

5. 다음은 ClassInitTest의 생성자를 호출.
생성자에서 this(0)이라는 인자 있는 생성자를 호출하므로
출력:ClassInitTest(int x)

6. 다음행 샐행
출력:ClassInitTest()

7. 다시 다음행 실행
출력:new ClassInitTest()

아휴~ 힘들다. 1000자 넘기지 않으려고 말을 짧게 썻다.
이해해라.


 

2. 텍스트 필드에 저장할 수 있는 문자열의 최대 길이

먼저 질문부터 하겠습니다.

Form의 method방식을 get으로 지정했을 경우에 전달할 수 있는 최대 문자열의 길이는 ?

HTTP 데이터 전송 방식에는 get과 post 방식이 있습니다. get방식은 URL에 "이름=값"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잘 관찰하시면 다음과 같은 주소를 보시게 될 겁니다.

folderselect=639096&rand=9935556036482

이름과 값을 위와 같은 형식으로 서버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get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스트링의 길이는 도대체 얼마나 될까 알아보았습니다.

알파벳과 한글 모두 2047문자까지 들어가더군요.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앞에 주소도 있고 기다 경로를 제외하면 조금 작아지겠지요. 그런데 실제 데이터를 get 방식으로 전달해 보면 그 보다 훨씬 미치지 못하는 길이만이 넘아갔습니다. 한글로 대략 340문자까지만 전송이 되었습니다[필자가 해보니깐 정말 변수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틀리고 사파리는 한글이 안된다;;;; 머 어쩌라구]. (+- 오차는 10문자 정도) 이를 post 방식으로 다시 전송하였더니 2000자 이상이 거뜬이 전송되었습니다.

이로써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또 다른 차이점을 알았습니다. 님들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post 방식을 사용하세요. 무심코 get방식을 사용한다면, 왜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이 되지 않는지 그 이유를 찾는데 한참을 보내야 할 겁니다.


 

3. 각종 데이터 타입의 최대값

  • MS Access의 MEMO 데이터 형 : Up to 65,535 characters
  • 유닉스의 IPC중 메시지큐 : 메시지의 최개크기 (4096), 큐의 최대 크기(16384)
  • 자바 자료형의 최소/최대값

유형

크기

최소값

최대값

byte

8bit

-128

127

short

16bit

-32768

32767

int

32bit

-2147483648(20억)

2147483647(20억)

long

64bit

-9223372036854775808

9223372036854775807


4. 네트워크 바이트 순서

바이트 오더(byte order)에는 두 가지가 있다. little endian과 big endian이다.

  • little endian : 작은 수를 끝에 놓는다.
  • big endian : 큰 수를 끝에 놓는다.

little endian은 56이란 수를 56으로 표현하고, big endian은 56을 65로 나타낼 수 있다는 말이다.

네트워크 상의 byte order은 big endian이다. 가령 little endian 머신에서 little endian머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문제가 없다 거꾸로 big endian에서 big endian으로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다른 방식의 두 머신이 통신을 할 때이다.

일단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네트워크 바이트 순서로 바꿔준 다음 데이터를 수신한 쪽에서 자신의 머신에 맞게 순서를 다시 조정하면 된다. 소켓에선 이런 일을 도와주는 함수가 있으며 htonl, htons, ntohl, ntohs와 같은 것들이 바로 이런 일들을 한다.

참고로 SUN, IBM들은 big endian형식이고 Intel은 little 엔디안 형식이라고 한다. 왜 이렇게 두 가지 방법이 있어서 번거롭게 하는지 모르겠다. 한가지밖에 없다면 아무 신경 쓰지 않고 통신을 하면 될텐데...


5. JAVA 기초 문법 중에서

  • 같은 파일 안에 public class는 단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클래스는 파일이름과 같아야 한다.
  • float 형의 유효 데이터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로 끝에 F 또는 f가 붙은 숫자이어야 한다.
    float f = 1.3 -> ( X )
    float f = 1.3f -> ( O )
    소수점만 있을 경우에는 double형으로 인식된다.
  • 같은 클래스내에서 메소드를 overloading할 때
    리턴타입은 상관없이 메소드의 인자만 다르면 된다.

class Test
{
     boolean method( int arg ) { return true; }

     boolean method( long arg ) { return true; }

     boolean method( int arg1, int arg2 ) { return true; }

     void method( ) { }     //신기하지만 자바에서는 이것도 가능하다.

     // 컴파일 에러 발생( 메소드 이름과 인자가 같으면 안된다. )
     void method( int arg ) { return true; }    

}

  • 헷갈리는 overloading과 overriding 구분하기

"overloading : 짐을 너무 많이 싣다. "
( 같은 클래스에 이름이 같은 메소드를 여러번 정의할 수 있다. )

class Test
{
     void method( int arg ) {}     // load

     void method( int arg1, int arg2 ) {}     // load ( overload )
}

 

"overriding : 짓밟다. 무시하다. "
( 부모로부터 상속받은 메소드를 재정의할 수 있다. )

class SuperClass
{
     void method( int arg ) { System.out.println( "SuperClass : " + arg ) }
}

class SubClass extends SuperClass
{
     void method( int arg ) { System.out.println( "SubClass : " + arg ) }
}


2007/10/24 12:06 2007/10/24 12:06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웅쓰:웅자의 상상플러스
웅자의 상상플러스
전체 (379)
게임 (5)
영화 (2)
기타 (23)
맛집 (5)
영어 (2)
대수학 (3)
형태소 (5)
Hacking (9)
Linux (112)
HTML (48)
Application_developing (48)
Web_developing (102)
Window (11)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1. 2016/01 (1)
  2. 2015/12 (3)
  3. 2015/10 (3)
  4. 2015/03 (2)
  5. 2015/01 (4)